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기획자를 위한 API 개념 – 협업과 설계에 꼭 필요한 이해

기획자를 위한 API 개념 – 협업과 설계에 꼭 필요한 이해

API 모르면 기획자 탈락? 이제 더 이상 겁먹지 마세요. 기획자 시점으로 풀어드립니다.

API라는 단어가 익숙하면서도 여전히 막막하게 느껴지시진 않나요?
저도 기획 일을 시작한 초반에는 'API 연동 필요'라는 말만 들어도 일단 개발자에게 넘기고 도망가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다양한 프로젝트를 거치며, API 구조와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얼마나 기획자에게 중요한 일인지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오늘은 개발자가 아닌 기획자의 관점에서 API를 설명해 드리며, 실제 업무에서 어떤 식으로 접목할 수 있는지도 함께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기획자를 위한 API 개념 – 협업과 설계에 꼭 필요한 이해

API란 무엇인가 – 기획자 시점에서

API는 쉽게 말해 두 시스템 간의 대화 창구입니다. 사용자가 앱에서 '주문하기' 버튼을 누르면, 이 요청을 서버에게 전하고, 서버는 다시 결과를 응답합니다. 이 과정이 바로 API 호출입니다.
기획자 입장에서는 API가 사용자 경험의 흐름 중간에서 정보를 요청하거나 전달받는 역할을 한다는 점만 정확히 인지해도 설계 관점이 훨씬 분명해집니다.

API 데이터 흐름과 요청 구조 이해

단계 설명
요청(Request) 사용자가 화면에서 특정 동작을 수행 (ex. 조회)
처리(Server Logic) 서버가 로직을 수행하고 결과값을 생성
응답(Response) 결과를 클라이언트(화면)로 다시 전달

기획자가 알아야 할 스펙 읽기 스킬

API 명세서를 보면 어려운 용어가 많아 보이지만, 기획자가 꼭 이해해야 할 부분은 정해져 있습니다. 아래 내용을 중심으로 확인해 보세요.

  • Endpoint (ex. /user/list) – 어떤 기능을 위한 API인지 확인
  • Method (GET, POST 등) – 조회인지 등록인지 판단 기준
  • Response Body – 화면에서 보여줄 데이터의 구조 파악

UX 설계와 API 연동 사례

실제 제가 기획한 고객정보 수정 화면에서는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을 누르는 순간, API를 통해 백엔드에 데이터가 전달되고 수정 결과가 응답됩니다. 이때 성공 시 안내 메시지, 실패 시 에러 메시지와 함께 UX 대응 흐름을 설계한 것이 핵심이었습니다.
API 호출 결과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피드백을 기획함으로써, 신뢰감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에러 코드와 응답 처리의 역할

에러 코드 의미
200 정상 처리 완료
400 요청 오류 (파라미터 누락 등)
500 서버 내부 오류

API 협업을 위한 기획자 체크리스트

  • API 요청 시 필요한 파라미터와 데이터 명세는 작성되었는가?
  • 실패 시 사용자 안내 문구와 행동 플로우가 정의되어 있는가?
  • API 호출 타이밍과 UX 연결 구조가 구체적으로 기획되어 있는가?
Q 기획자가 API까지 알아야 하나요?

기획자가 개발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요청 흐름과 데이터 구조를 이해하면 협업과 설계 효율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Q API 명세는 누가 작성하나요?

보통은 개발자가 작성하지만, 기획자가 사전 기획서에 필요한 데이터 구조를 명확히 정의하면 훨씬 효율적으로 협업이 이뤄집니다.

Q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의 구분이 API와 어떤 관련이 있나요?

API는 프론트엔드(화면)와 백엔드(서버)를 이어주는 다리입니다. 중간에 위치하며 데이터를 주고받는 역할을 합니다.

Q API는 반드시 화면에 연결되어야 하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화면 없이도 배치 처리, 알림 시스템 등에서 백엔드 간 통신용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Q API 연동 실패 시 기획자는 무엇을 해야 하나요?

기획자는 요청 값, 파라미터 누락, 응답 에러 메시지를 기준으로 개발자와 원인을 파악하고 UX적으로 어떻게 처리할지를 결정합니다.

Q Postman은 꼭 써봐야 하나요?

꼭은 아니지만, API 테스트 도구를 간단히라도 다뤄보면 명세 구조 이해와 개발자 커뮤니케이션에 매우 유용합니다.

API는 이제 기획자에게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반드시 갖춰야 할 핵심 역량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한때는 어렵고 복잡해 보였던 API의 개념도 사용자와 시스템을 연결해주는 간단한 구조로 바라보면 훨씬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오늘 여러분께 설명드린 내용을 바탕으로, 앞으로 여러분의 프로젝트에서 API를 자신 있고 능숙하게 다룰 수 있기를 진심으로 희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