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시나리오 작성법, 페르소나에서 시작하자
사용자 시나리오 작성법, 페르소나에서 시작하자
제가 프로젝트에 파견되어 기획 업무를 시작할 때마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생각이 하나 있습니다.
“이 서비스를 실제로 사용하는 사람은 누구일까?”
리뉴얼 기획이든 신규 서비스 기획이든, 현업 담당자들과 만나 인터뷰를 진행할 때 이 질문은 항상 따라붙습니다. 기존 사이트에서 어떤 점이 불편했는지, 새로운 시스템에 어떤 기능이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지 묻다 보면, 결국 핵심은 하나로 수렴됩니다.
바로 ‘사용자’가 누구냐에 따라 기획이 달라져야 한다는 점입니다. 제품과 사용자의 접점은 기획의 출발점이며, 그 첫 단추는 페르소나(Persona) 정의에서 시작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페르소나 기반 사용자 시나리오 작성법을 소개합니다.
목차
1. 사용자 시나리오란 무엇인가
사용자 시나리오는 특정 페르소나가 주어진 상황에서 서비스를 사용하는 이야기 구조입니다.
단순한 사용 흐름이 아닌, 사용자의 목표, 감정, 맥락을 함께 담아야 합니다.
“퇴근 후 버스에서, 20대 직장인 은수는 스마트폰으로 헬스장을 예약한다. 앱은 최근 예약한 지점을 최우선으로 보여주고, 3번의 클릭만으로 예약이 완료된다.”
누가 → 언제 → 어떤 맥락에서 → 어떤 행동을 → 왜 하는지가 중요합니다.
2. 왜 페르소나에서 시작해야 하는가
페르소나 없이 시나리오는 공허한 시뮬레이션에 불과합니다.
페르소나는 실제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든 대표 인물입니다.
- 의사결정 기준을 명확히 함
- 기능 우선순위 설정이 쉬워짐
- 서비스 방향성에 일관성을 부여
3. 실전! 페르소나 작성법
Step 1: 사용자 조사 데이터 수집
사용자 인터뷰, 설문, 로그 분석을 통해 연령, 직업, 행동패턴 등 정보 수집
Step 2: 대표 사용자 유형 도출
공통 특성을 가진 집단을 정리한 후, 대표 페르소나를 설정
Step 3: 페르소나 시트 작성
4. 사용자 시나리오 작성 순서
- 페르소나의 일상 상황 설정
- 문제 상황 혹은 니즈 도출
- 서비스와의 상호작용 흐름 정의
- 사용자의 감정 변화 및 결과 서술
"네오는 지하철에서 내리기 전, 홈트레이닝 앱의 알림을 본다. 평소 운동을 자주 놓쳤던 그녀는 '3분 스트레칭 루틴'을 실행하고 기분이 상쾌해진다. 앱은 이 과정을 자동 저장하여 다음 추천 루틴으로 이어준다."
5. 잘 만든 시나리오의 3가지 특징
6. 자주 묻는 질문 (FAQ)
Q 사용자 시나리오는 꼭 만들어야 하나요?
AMVP 단계일수록 간단한 시나리오라도 필수입니다. 방향성을 잡는 나침반이 되기 때문입니다.
QB2B 서비스에도 페르소나가 필요한가요?
A 필요합니다. 구매 결정자와 실제 사용자는 다를 수 있으므로 복수 페르소나가 요구됩니다.
Q팀원들과 페르소나를 공유할 땐 어떻게 하나요?
ANotion이나 Google Docs에 시트화해 두고 공통 언어로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결론
사용자 중심 기획의 핵심은 페르소나 개발에서 시작해 구체적인 시나리오로 완성됩니다. 지금 바로 팀원들과 협력하여 페르소나를 만들고 시나리오를 함께 구축해보세요. 이를 통해 당신의 기획은 훨씬 더 강력한 설득력을 갖추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