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기획자, 뭐하는 직업일까?” 신입부터 시니어까지 커리어 로드맵 완벽 정리
IT기획자, 뭐하는 직업일까?” 신입부터 시니어까지 커리어 로드맵 완벽 정리
IT 서비스가 일상이 된 지금, 다양한 디지털 직무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IT기획자’는 사용자와 개발, 그리고 비즈니스를 잇는 핵심 직무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분들에게는 생소한 이름으로 남아 있습니다.
“IT기획자는 정확히 어떤 일을 하나요?”
“비전공자도 가능한가요?”
“커리어는 어떻게 쌓아야 할까요?”
저도 현직 IT기획자로 일하면서 주변에서 이런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
특히 기획자로 전환을 고민하는 분들, 신입으로 진입하려는 분들께는 ‘직무 이해’와 ‘커리어 방향성’이 가장 큰 고민이더라고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신입부터 시니어까지 단계별로 IT기획자 직무를 해부하고, 커리어를 어떻게 쌓아나가야 할지 구체적으로 알려드릴 예정입니다.
기획자가 어떤 일을 하고, 어떤 역량을 쌓아야 하는지 궁금하셨다면 이 글을 끝까지 읽어보세요.
실제 현직자들이 어떻게 성장해왔는지, 단계별 로드맵과 함께 현실적인 전략까지 함께 정리해드릴게요.
IT기획자란?
IT기획자(서비스 기획자)는 디지털 서비스가 탄생하고 운영되기까지의 흐름을 설계하는 사람입니다.
- 사용자가 어떤 기능을 언제, 어떻게 사용할지
- 서비스가 어떤 플로우로 작동해야 하는지
- 기획한 아이디어를 개발자, 디자이너와 어떻게 협업할지
IT기획자의 주요 업무
- 요구사항 정의 – 사용자 니즈, 시장 트렌드, 내부 요청 등을 바탕으로 기능 방향 도출
- 화면 설계 및 흐름도 작성 – 와이어프레임 및 UX 플로우 설계
- 개발자/디자이너와 협업 – 기획서 기반 커뮤니케이션
- 일정 관리 및 QA – 프로젝트 일정 조율 및 기능 테스트
신입 IT기획자가 준비해야 할 것
- 실무 감각이 담긴 포트폴리오 – 가상의 서비스 기획서 준비
- 툴 활용 능력 – Notion, Figma, Excel 등 기본 활용 가능해야 함
- 유사 서비스 분석 – 앱 분석 및 경쟁사 비교 능력 중요
- 논리적인 사고력 – 모든 기획에는 이유와 근거가 있어야 함
IT기획자의 커리어 단계
🟢 1단계: 신입 / 주니어 (~3년차)
- 문서 작성, 기능 조사, 화면 설계 등 서포트 업무 중심
- 작은 프로젝트의 기능 개선부터 경험 축적
🔵 2단계: 중급 / 미들 (3~6년차)
- 전체 흐름 설계 및 기획 리딩
- 데이터 기반 개선, 리스크 관리 등 실무 총괄
🟣 3단계: 시니어 / 리더 (7년 이상)
- 서비스 전략, 로드맵, KPI 수립
- PO 또는 PM으로 전환 가능
IT기획자의 미래와 전망
AI, 클라우드, SaaS 시대가 열리면서 IT기획자는 전략적 역량이 더욱 중요한 포지션이 되었습니다.
기획자는 단순한 문서 작성자가 아닌,
사용자 경험과 기술, 비즈니스를 연결하는 중간 관리자 역할을 수행합니다.
- 스타트업: 전략 실현의 핵심 포지션
- 대기업: 플랫폼 기획 및 규모 확장 경험
직무 전환도 가능합니다
UX디자이너, 마케터, 고객센터 출신도 IT기획자로 커리어 전환 가능합니다.
- 사용자 관점 이해
- 서비스 개선 경험
- 문서화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
실제로 실무 중심 포트폴리오만 잘 준비된다면 비전공자도 충분히 도전할 수 있어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IT기획자와 개발자의 차이는?
A기획자는 ‘무엇을 만들지’, 개발자는 ‘어떻게 만들지’ 구현하는 역할입니다.
Q비전공자도 가능한가요?
A네, 실제로 비전공자도 많이 진입합니다. 실무 능력과 포트폴리오가 핵심입니다.
Q신입 채용 시 가장 중요한 것은?
A포트폴리오와 논리적인 사고력, 서비스 분석 능력입니다.
Q시니어는 어떤 업무를 하나요?
A전략 기획, 팀 리딩, 제품 방향 설계 등 상위 레벨 업무를 수행합니다.
Q코딩을 못해도 되나요?
A괜찮습니다. 다만 개발자와 소통을 위한 기술 이해도는 갖추는 게 좋습니다.
마무리하며
IT기획자는 기술, 사용자, 사업을 잇는 조율자이자 설계자입니다.
실무 감각을 키우고, 꾸준한 훈련을 통해 누구든 성장할 수 있습니다.
지금이 바로 준비할 타이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