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는 어디까지 알아야 할까? – 프론트엔드 몰라도 되는 줄 알았죠?

기획자는 어디까지 알아야 할까? – 프론트엔드 몰라도 되는 줄 알았죠?

“기획자는 코드를 짜지 않지만, 코드를 이해해야 좋은 기획을 합니다.”
Frontend

많은 기획자들이 “프론트엔드는 개발자 영역”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제 프로젝트에서 레이아웃, 반응형, 동작 방식 등에 대한 이해 없이 기획을 진행하면, 디자이너나 프론트엔드 개발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에 시간과 리소스 낭비가 생깁니다. 오늘은 기획자가 프론트엔드를 어디까지 이해해야 하는지, 그 핵심을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1. 기획자가 프론트엔드를 알아야 하는 이유

프론트엔드는 사용자가 실제로 보는 화면입니다. 기획 단계에서 프론트엔드의 구조와 제약을 모르고 기획하면, 개발 단계에서 되돌리는 일이 생깁니다. 기획자가 기본적인 구조를 이해하면, 디자인 가이드와 퍼블리싱까지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 커뮤니케이션이 훨씬 효율적입니다.

2. 꼭 알아야 할 HTML 기본 구조

HTML

HTML은 웹페이지의 뼈대를 구성하는 언어입니다. 예를 들어, 버튼이나 입력창이 어떤 태그로 구성되는지 정도만 알아도 실제 기획 문서에 큰 도움이 됩니다. 

예시: <button>회원가입</button> 

실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구성에 필수입니다.

3. CSS와 레이아웃의 이해

CSS는 스타일을 정하는 언어입니다. 색상, 폰트, 여백, 정렬 등이 어떻게 지정되는지 이해하면 디자인 시안의 실현 가능성을 판단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Flexbox, Grid 같은 레이아웃 속성은 특히 기획서 제작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입니다.

4. 반응형 웹이란? 왜 중요한가?

반응형 웹 디자인

반응형 웹은 PC, 태블릿, 모바일 등 다양한 화면 크기에 자동으로 대응하는 구조입니다. 기획자가 화면 크기에 따라 어떤 UI 요소가 보이고 숨겨지는지, 어떤 기능이 변경되는지 미리 정의하면 개발자와의 협업이 쉬워집니다.

5. 프론트 개발자와 소통할 때 유용한 용어

  • DOM (Document Object Model): HTML 요소의 구조
  • 컴포넌트(Component): 재사용 가능한 UI 조각
  • 브레이크포인트(Breakpoint): 반응형 화면 전환 기준점
  • 빌드(Build): 코드가 실제 서비스용으로 변환되는 과정

6. 기획자에게 적절한 프론트엔드 학습 범위

기획자가 전문 개발자가 될 필요는 없지만, 아래 영역은 최소한으로 숙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HTML 기본 태그 이해 (button, input, form 등)
  • CSS 속성 중 display, position, margin, padding
  • 디바이스 별 화면 구성 방식 (반응형/적응형 차이)
  • 프론트 개발 흐름 (Git, 빌드, 배포 정도의 개념)

7. FAQ – 자주 묻는 질문

Q기획자가 HTML/CSS를 코딩까지 해야 하나요?

A직접 작성할 필요는 없지만, 구조를 이해하고 문서로 전달할 수 있을 정도는 필요합니다.

Q프론트 개발자와 자주 생기는 오해는 뭔가요?

A기획서에 없는 동작을 기대하거나, 디자인이 너무 복잡한 경우입니다. 프론트 제약을 이해하면 줄일 수 있습니다.

Q반응형 웹은 디자이너가 알아서 하는 거 아닌가요?

A일부는 그렇지만, 어떤 화면에서 어떤 기능이 노출되어야 하는지 정의하는 건 기획자의 역할입니다.


기획자는 모든 기술을 알 필요는 없지만, 핵심 흐름을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프로젝트의 성공률은 훨씬 높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