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 시간에 벙찌지 않으려면? IT 기획자를 위한 기술스택 파악법 전부 정리!

회의 시간에 벙찌지 않으려면? IT 기획자를 위한 기술스택 파악법 전부 정리!

"기획자는 개발을 직접 하지 않아도, 개발자의 언어는 이해할 줄 알아야 합니다."
기획자를 위한 기술 스택

 

IT 프로젝트 회의 중 개발자들이 쓰는 단어가 전혀 이해되지 않았던 경험, 혹시 있으신가요? “React, Django, DB 스키마, 배포, API...” 같은 용어들이 쏟아질 때, 기획자는 당황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이 글에서는 IT 비전공자 기획자개발자와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기술스택을 파악하는 방법을 아주 쉽게 설명드릴게요.

1. 기획자에게 기술스택이 중요한 이유

기술스택은 단순히 어떤 기술을 썼는지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 전체의 구조와 운영방식을 이해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합니다. 기획자가 기술스택을 알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 개발 가능성과 리스크를 미리 파악할 수 있음
  • 일정과 기능 범위를 현실적으로 조율할 수 있음
  • 비즈니스 논리와 기술 구현 간 간극을 줄일 수 있음

2. 기술스택 구성 요소 쉽게 이해하기

기획자와 개발자가 회의하는 모습

기술스택은 보통 다음의 3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 프론트엔드: 사용자가 직접 보는 화면, 앱, 웹사이트 UI
  • 백엔드: 서버, 데이터 처리, 로직, 인증 등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
  • 데이터베이스(DB): 회원정보, 게시글, 결제 정보 등을 저장

예를 들어, 어떤 웹서비스가 있다면:
- 프론트엔드는 React
- 백엔드는 Node.js
- 데이터베이스는 MySQL
이렇게 조합될 수 있습니다.

3. 초보 기획자를 위한 기술 파악 루트맵

기술 공부는 처음에 너무 깊게 들어가지 말고, 전체 흐름을 이해하는 데 집중하세요.

  1. 서비스 흐름 그리기: 기획서에 화면 → 기능 → 데이터 흐름을 시각화
  2. 간단한 기술 키워드 조사: 기능별로 어떤 기술을 사용하는지 검색
  3. 구글링 & 유튜브 활용: “Node.js가 뭐야?”, “React 기획자용 설명” 같은 키워드로 검색

4. 협업을 위한 최소한의 기술 상식

개발자와 효과적으로 협업하려면 아래 개념 정도는 꼭 알고 있으면 좋아요.

  • API: 앱이나 웹에서 서버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 통로
  • 버전 관리(Git): 개발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관리하는 도구
  • 배포: 만든 서비스를 실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작업
  • 테스트: 기능이 정상 작동하는지 검증하는 단계

5. 도움 되는 무료 학습 자료 추천

다음은 기획자가 기술스택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무료 자료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IT 비전공자인데 기술스택을 꼭 알아야 하나요?

A 모든 걸 깊이 이해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기본 개념을 알면 협업이 훨씬 쉬워지고, 기획 퀄리티도 올라갑니다.

Q기술 트렌드가 너무 빠른데 어떻게 따라가야 하나요?

A 트렌드를 다 쫓을 필요는 없습니다. 매월 1~2개 뉴스레터 구독이나 기술 블로그 구독만으로도 흐름은 충분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Q어떤 기술부터 알아보는 게 좋을까요?

A 프론트엔드(React, Vue), 백엔드(Node.js, Django), DB(MySQL, MongoDB)처럼 기능별로 하나씩 알아가는 걸 추천합니다.

마무리하며

기획자라고 해서 개발자가 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기술 흐름과 개념을 이해하는 노력은 더 나은 기획, 더 매끄러운 협업으로 이어집니다. 지금 당장은 생소할 수 있지만, 하나씩 익혀가다 보면 개발자들과 대화가 통하고, 기획서도 더 정교해질 거예요.

앞으로도 IT 기획과 관련된 실전형 콘텐츠로 찾아올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