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도 바로 쓰는 사용성 테스트 계획 수립법 7단계(체크리스트 포함)
"좋은 테스트 계획은 좋은 인사이트를 만든다. 준비가 결과를 좌우한다."
사용성 테스트는 사용자 관점에서 제품을 검증하는 가장 직관적인 방법입니다. 그러나 계획이 부실하면 시간과 비용만 낭비됩니다. 아래 7단계는 실무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순서와 체크리스트를 포함합니다. 각 단계별로 핵심 질문과 예시를 함께 제공합니다.
1단계 — 목표(Goal) 명확히 하기
무엇을 검증하려는가? 예: 회원가입 흐름의 이탈 원인, 결제 성공률 개선, 핵심 기능 직관성 등. 목표는 행동으로 표현하세요.
2단계 — 대상자(리크루팅) 정의하기
대상자 페르소나를 구체적으로 정하세요. 연령대, 경험 수준, 디바이스 사용 패턴 등. 샘플 수는 목적에 따라 다르지만 초기 탐색은 5~8명, 비교 분석은 15명 이상을 권장합니다.
3단계 — 시나리오(태스크) 작성
실제 사용 상황을 재현하는 태스크를 만드세요. 각 태스크는 하나의 목표 행동에 집중합니다. 태스크는 중립적으로, 해답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작성합니다.
4단계 — 측정지표(Metrics)와 도구 선정
정량 지표(완료율, 소요시간, 클릭 수)와 정성 관찰(혼란 표정, 구두 피드백)을 모두 정하세요. 화면 녹화, 안면 인식, 타이머, 설문 도구를 미리 준비합니다.
5단계 — 스크립트와 프로토콜 준비
환영 인사, 비밀유지 동의, 태스크 안내, 후속 질문(사후 인터뷰)으로 구성된 스크립트를 준비하세요. 진행자 안내문과 기록 템플릿을 명확히 합니다.
6단계 — 파일럿(pilot) 실행
정식 테스트 전에 1~2명의 파일럿을 실행해 시나리오와 녹화, 설문 흐름을 점검합니다. 파일럿에서 발견된 문제는 즉시 수정합니다.
• 태스크 시간과 난이도 적절성 확인
• 녹화 및 로그 수집 정상 여부 확인
• 진행자 멘트 자연스러움 확인
7단계 — 실행, 분석, 우선순위화
데이터를 정리한 뒤 문제를 발견하면 심각도와 빈도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매깁니다. 개선안은 가설-해결책-검증 계획 형태로 기록하세요.
마무리: 빠른 체크리스트
1) 목표 명확화 ✔︎
2) 대상자 정의 및 모집 계획 ✔︎
3) 태스크 5~8개 작성 ✔︎
4) 핵심 지표 3개 선정 ✔︎
5) 스크립트 및 녹화 도구 준비 ✔︎
6) 파일럿 1~2회 실행 ✔︎
7) 분석 후 우선순위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