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라면 꼭 알아야 할 회의 말하기 전략 TOP 5
"좋은 아이디어는 말로 살아난다. 말하기 방식이 아이디어의 운명을 결정한다."
회의 초반, 말하기 순서를 정하는 작은 준비가 큰 차이를 만든다.
기획 회의에서는 아이디어 자체만큼 그것을 전달하는 방식이 중요합니다. 아래 다섯 가지 전략은 구체적이고 실전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들입니다. 각 전략마다 간단한 예시와 함께 설명하므로 바로 연습해 보시기 바랍니다.
전략을 한눈에 정리한 그림. 회의 전 체크리스트로 활용하세요.
1. 구조화된 발언으로 핵심 먼저 제시하기
발언 시작 10초 내에 핵심을 말합니다. 배경 설명은 핵심 뒤 또는 필요할 때 덧붙입니다. 청중은 먼저 '결론'을 들으면 이후 설명을 더 잘 따라옵니다.
예시: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번 분기 캠페인은 A안으로 진행하는 것이 비용 대비 효과가 가장 큽니다. 이유는 세 가지입니다." 그런 다음 세 가지 근거를 순서대로 제시합니다.
핵심을 먼저 말하면 참여자의 집중도가 올라갑니다.
2. 핵심 숫자와 비교 지표를 준비하기
모호한 표현 대신 구체적인 숫자를 제시하세요. 예상 효과, 비용, 일정 등의 비교 지표를 한두 개로 요약하면 설득력이 높아집니다.
예시: "예상 비용 1,200만 원, 예상 전환율 3.5%로 기존 캠페인 대비 전환이 1.2배 향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핵심 숫자는 시각 자료로 보여주면 이해가 빠릅니다.
3. 질문을 유도하는 발언으로 참여 이끌기
일방적 설명 대신 질문을 던져 참여를 유도합니다. 질문은 찬성/반대, 우려사항 같은 구체적 포인트로 좁힙니다.
예시: "이 제안에 대한 주요 우려가 무엇일까요? 우려가 예산이라면, 조정 가능한 항목을 제안하겠습니다."
질문은 회의 흐름을 주도하는 좋은 도구입니다.
4. 비언어적 신호로 신뢰감 강화하기
목소리 톤, 속도, 시선, 자세는 말의 설득력을 좌우합니다. 천천히, 분명하게 말하고 청중과 눈을 맞추며 핵심에서 멈춰 강조합니다.
예시: 중요한 수치를 말할 때 잠깐 멈추고 시선을 한 사람에게 맞춘 뒤 다시 설명을 이어갑니다.
표정과 제스처는 말의 신뢰도를 높입니다.
5. 반대 의견을 예상하고 완곡하게 수용하기
반대 의견을 미리 예상해 핵심 응답을 준비하세요. '반박'이 아니라 '수용 후 보완' 방식이 갈등을 줄이고 설득 가능성을 높입니다.
예시: "예산 우려는 타당합니다. 대체 지표로 ROI 우선순위를 두고 일부 항목을 분기별로 조정하는 방안을 제안합니다."
반대 의견을 열린 태도로 수용하면 논의가 생산적으로 전환됩니다.
마무리 및 실전 팁
회의 전 60초 스크립트를 준비하고, 핵심 숫자 1~2개를 메모해 두세요. 발언 후 요약 문장을 한 번 더 말하면 메시지 전달력이 훨씬 좋아집니다. 연습은 짧게 자주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회의 전 60초 연습을 습관화하면 말하기 수준이 빠르게 올라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