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면 설계서 어떻게 시작하지? 실전 예시로 익히기
제가 처음 IT에서 기획자로 일을 시작할 때, 화면 설계서를 어떻게 작성해야 할지 고민이 많았습니다. 개발자에게 전달할 문서를 어떻게 그려야 할지, 와이어프레임은 어떤 툴로 만들어야 할지,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지 감이 전혀 없었죠.
특히 실무에서는 이 문서 하나가 프로젝트 흐름을 바꾸기 때문에, 단순히 그림을 그리는 수준이 아니라, ‘사용자 경험’과 ‘기술 논리’를 동시에 담아야 한다는 걸 나중에야 깨달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실무 기획자가 화면 설계서를 처음 시작할 때 참고할 수 있는 단계별 팁과 실제 예시를 정리해 드립니다.
목차
- 1. 화면 설계서란 무엇인가?
- 2. 화면 설계서 작성 전 꼭 해야 할 준비
- 3. 화면 설계서 구성 요소
- 4. 실전 예시: 회원가입 화면 설계
- 5. 초보 기획자를 위한 화면 설계 꿀팁
1. 화면 설계서란 무엇인가?
화면 설계서는 화면 단위로 기능, 콘텐츠, 사용자 흐름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문서입니다. 일반적으로 와이어프레임과 함께 제공되며,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정리합니다.
2. 화면 설계서 작성 전 꼭 해야 할 준비
- 기능 명세서 또는 요구사항 정의서 정리
- 경쟁사 UI/UX 벤치마킹
- 사용자 플로우(User Flow) 설계
- 사용자 페르소나 정의
3. 화면 설계서 구성 요소
화면 설계서에는 보통 다음과 같은 요소가 포함됩니다:
- 화면 이름: 해당 페이지의 고유 명칭
- 기능 설명: 버튼, 입력 필드 등 주요 UI 요소에 대한 설명
- 데이터 연동: API 또는 DB 연동 여부 명시
- 화면 간 이동 흐름: 어떤 액션 후 어디로 이동하는지
- 예외 처리: 실패 시 메시지, 빈 상태 등 고려
4. 실전 예시: 회원가입 화면 설계
아래는 모바일 앱 회원가입 화면에 대한 기본 설계 예시입니다.
요소 | 내용 |
---|---|
화면 이름 | 회원가입 |
필드 구성 | 이메일, 비밀번호, 비밀번호 확인, 닉네임 |
버튼 | 가입하기, 취소 |
기능 | 입력값 유효성 검사, 이메일 중복 확인 |
에러 메시지 |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등 |
5. 초보 기획자를 위한 화면 설계 꿀팁
- 툴 추천: Figma, FigJam, Whimsical (간단하게 시작 가능)
- 모듈화: 반복되는 UI 요소는 컴포넌트로 설계
- 협업: 개발자/디자이너와 리뷰 주기를 정해 협의
- 버전 관리: 수정된 내역을 기록하며 관리
마무리
화면 설계서는 단순한 스케치가 아닙니다. 사용자 경험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설계도이자, 개발과 디자인의 소통 도구입니다. 이번 글을 통해 기획자로서 화면 설계를 처음 시작하는 분들이 조금 더 명확하게 방향을 잡을 수 있길 바랍니다. 다음 글에서는 기능 명세서 작성법도 함께 소개해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