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프로젝트 초기 기획자가 해야 할 핵심 체크리스트

프로젝트 초기 기획자가 해야 할 핵심 체크리스트

명확한 초기 기획은 프로젝트의 방향을 잡아주고 불필요한 재작업을 줄여준다.

프로젝트가 시작되면 기획자의 초반 판단과 준비가 결과에 큰 영향을 줍니다. 이 글은 초기 단계에서 기획자가 빠짐없이 점검해야 할 핵심 항목을 실무 중심으로 정리한 체크리스트입니다. 각 항목별로 예시와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템플릿을 함께 제공합니다.

기획자 이미지


핵심 체크리스트 요약

  1. 목표 정의 (Why)
  2. 주요 사용자(페르소나) 정의
  3. 핵심 가정과 성공 기준 설정
  4. 기능 우선순위(MVP 정의)
  5. 비즈니스 및 기술 제약 사항 확인
  6. 이해관계자 목록 및 커뮤니케이션 계획
  7. 초기 일정(마일스톤)과 리소스 추정
  8. 리스크 식별 및 대응 방안
  9. 데이터 및 보안 요구사항
  10. 테스트 및 품질 기준

상세 체크리스트 (실전 항목)

1. 목표(Why)와 핵심 지표(KPI)

프로젝트의 목적을 간결히 1~2문장으로 작성하고, 성공을 판단할 핵심 지표를 2~3개 설정합니다. 예: 신규 가입 전환율 15% 달성, 구매전환율 2배.

2. 사용자와 시나리오

주요 페르소나 2~3개와 그들이 서비스를 사용하는 대표 시나리오를 작성합니다. 각 시나리오에 기대 행동과 성공 기준을 포함하세요.

3. 기능 목록과 우선순위(MVP)

모든 기능을 나열한 뒤 우선순위를 A(필수)/B(보완)/C(선택)로 구분합니다. 초기 릴리즈의 범위를 MVP로 확정합니다.

4. 기술·운영 제약 확인

현재 시스템 구조, API 가용성, 외부 의존성, 인프라 제한 등 기술적 제약을 수집합니다. 운영 측면에서는 고객 대응 체계와 SLA를 점검하세요.

5. 일정과 리소스 추정

주요 마일스톤(기획 완료, 디자인 완료, 개발 완료, 베타 테스트, 출시)을 설정하고 각 단계의 인력과 기간을 추정합니다. 불확실성이 큰 항목은 버퍼를 둡니다.

6. 리스크 식별 및 우선순위

기술, 일정, 법적, 데이터 관련 리스크를 항목화하고 영향도(높음/중간/낮음)와 대응 계획을 작성합니다. 리스크 소유자를 지정하세요.

7. 이해관계자와 커뮤니케이션 규칙

프로젝트 관련 의사결정자와 소통 채널(주간 회의, 슬랙 채널, 문서 저장소)을 명확히 합니다. 보고 주기와 보고 항목을 정리하세요.

8. 데이터, 보안, 규정 준수

수집할 데이터 항목, 보관 기간, 개인정보 처리 방침과 보안 요구사항을 정리합니다. 관련 법규나 조직 정책을 확인하세요.

9. 테스트 전략과 품질 기준

자동화 가능 테스트, 수동 테스트 케이스, 수용 기준(acceptance criteria)을 정의합니다. 성능 기준과 장애 대응 절차도 포함하세요.

10. 출시 이후 측정과 개선 계획

출시 후 모니터링할 지표, 사용자 피드백 수집 방식, A/B 테스트 계획을 수립합니다. 개선 주기를 명시하세요.

실전 템플릿 — 초기 기획서 요약 예시

프로젝트명: 신규 모바일 온보딩 개선

목표: 온보딩 완료율 60% → 75%로 개선

KPI: 온보딩 완료율, 7일 활성 사용자 수, 이탈률

MVP 범위: 1) 가입 흐름 단순화 2) 추천 입력 최소화 3) 튜토리얼 팝업

주요 리스크: 외부 인증 API 지연(영향: 높음) — 대응: 대체 인증 플로우 준비

마일스톤: 기획 완료(2주) → 디자인(2주) → 개발(4주) → 베타(1주) → 출시

맺음말

초기 기획의 완성도가 프로젝트 결과를 좌우합니다.

이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팀 템플릿을 만들고, 프로젝트마다 빠르게 커스터마이즈해서 사용하세요. 필요하면 위 템플릿을 엑셀, 구글 시트 또는 Notion 형태로 변환해 드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