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기획자가 ChatGPT를 쓴다면? 단계별 추천 프롬프트 7가지

IT 기획자를 위한 ChatGPT 프롬프트 7가지 – 실전 활용 예시

제가 프로젝트에 투입되었을 때는 하루 종일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게 됩니다.

“이 기획의 본질은 무엇인가?”, “사용자의 진정한 니즈는 무엇일까?”, “경쟁사는 어떤 전략을 펼치고 있을까?”
이런 질문에 빠르고 논리적으로 답하기 위해선 단순한 정보 검색을 넘어, 정교한 사고 도구가 필요합니다. 그 해답은 바로 ‘정교하게 설계된 프롬프트’에 있습니다.

ChatGPT는 기획자의 든든한 보조 두뇌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핵심을 정확히 짚어내는 질문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기획 업무의 전반 흐름에 최적화된 ChatGPT 활용 프롬프트 7가지를 실무 예시와 함께 소개합니다.


📌 목차


1. 기획 아이디어가 막막할 때

예시 프롬프트:

"최근 IT 업계에서 주목받는 트렌드 5가지를 정리하고,
각각에 대해 서비스 기획 아이디어를 제안해줘."
  
  • 활용 팁: 브레인스토밍, 기획서 인트로 작성용
  • 핵심 포인트: 단순 정보 나열이 아닌 ‘기획 연결성’ 요구

2. 사용자 페르소나 구상이 필요할 때

"20대 직장인을 타깃으로 한 생산성 앱을 기획하려고 해.
주요 사용자 페르소나 3가지를 각각의 특징, 니즈, 문제점 중심으로 만들어줘."
  
  • 활용 팁: 실제 사용자 니즈를 중심으로 기획 방향 설정
  • 보완 예시: “직장/학업 스트레스 완화” 조건 추가 시 더욱 정교한 결과

3. 경쟁사 분석이 필요할 때

"[경쟁사 A]와 [경쟁사 B]의 서비스 기능을 비교 분석해줘.
장점, 단점, 내가 기획 중인 서비스와의 차별점도 함께 정리해줘."
  
  • 활용 팁: 보고서용 비교표 초안에 적합
  • 추가 예시: “표로 정리해줘” 포함 시 명확한 테이블 자동 생성

4. 서비스 플로우를 그려야 할 때

"중고 거래 앱을 기획 중이야.
사용자가 처음 방문해서 거래 완료까지 이르는 사용자 흐름을 단계별로 정리해줘."
  
  • 활용 팁: 전반적인 UX 흐름을 시각화하는 데 유용
  • 확장 요청: “프로세스별 UX 고려사항도 함께 설명해줘”

5. 기능 기획 논리를 정리할 때

"AI 자동 요약 기능을 기획 중인데,
이 기능이 왜 필요한지 기획자 관점에서 논리적으로 설명해줘."
  
  • 활용 팁: 기획서의 '도입 배경' 작성 시 매우 효과적
  • 보완 방법: “실제 사용 시나리오를 함께 작성해줘” 요청 시 설득력 강화

6. 회의 요약 또는 공유용 정리 필요할 때

"다음 내용을 회의 요약문 형태로 정리해줘.
주요 논의사항, 결정사항, 다음 액션 순으로 정리해줘.
[회의 내용 붙여넣기]"
  
  • 활용 팁: 회의 후 Slack 또는 Notion에 바로 공유 가능
  • 보너스 요청: “정중한 말투로 바꿔줘” → 버전별 작성 가능

7. 기획 문서 문장 다듬기

"이 문장을 더 간결하고 설득력 있게 다듬어줘:
‘사용자 행동 로그를 분석한 결과, A 기능에 대한 이탈률이 타 기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 활용 팁: 보고서 문장 교정, 발표자료 문장 정리에 효과적
  • 변형 예시: “중간 관리자용 언어로 바꿔줘” → 대상 맞춤 가능

기획자, 곧 프롬프트 설계의 마에스트로

기획자는 복잡한 정보와 창의적인 아이디어 사이에서 최적의 해답을 설계하는 전문가입니다. ChatGPT는 이러한 여정을 함께할 수 있는 강력한 협업 도구입니다. 

하지만 어떤 질문을 던지느냐에 따라, AI의 출력 품질은 극명하게 갈립니다.

위에서 제시한 프롬프트는 실제 실무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구조입니다. 

그대로 사용해도 좋고, 자신의 프로젝트 특성에 맞게 변형하여도 좋습니다. 

 궁극적으로 가장 훌륭한 프롬프트는 ‘자신의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질문’임을 기억하세요.